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1)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는 유닉스 계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운영체제이고 유닉스와 마찬가지로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한다. 디렉토리 구조를 활용해 파일들을 관리하고 이 위치에 따라 파일들을 참조하여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 / 모든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 (루트 디렉토리) /bin, /sbin 둘 다 바이너리 파일로 컴파일된 실행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다. /bin 리눅스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cd, ls, mv, rm 등) /sbin 주로 시스템이 사용하는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sysctl 등) /home, /root /home 개별 사용자의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디렉토리 (예를들어 새로운 사용자 user1을 생성하면 /home/u..
서버 접속 안될 때 port, 방화벽 확인 예를 들어, http://1.1.1.1:8080 에 접속이 안된다고 하자. 1. 먼저 서버에서 8080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해당 포트가 LISTEN 상태인데 연결이 되지 않으면 방화벽을 확인해야 한다. > netstat -nap | grep 8080 tcp 0 0 0.0.0.0:8080 0.0.0.0:* LISTEN - 2. 이제 로컬에서 연결되는지 확인해본다. ❯ nc -vz 1.1.1.1 8080 # 연결 성공시 Connection to 1.1.1.1 port 8080 [tcp/cbt] succeeded! # 연결 실패시 nc: connectx to 1.1.1.1 port 8080 (tcp) failed: Connection refused 3. 방화벽을 확인하고 열어준다. > sudo ..
ps -ef | grep, ps -aux | grep 차이 1. ps(Process Statu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상태를 보여준다. ps 옵션은 OS 계열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System V 계열에서는 -를 사용하고 BSD 계열을 -를 사용하지 않는다. System V 계열 ps -ef | grep [찾고싶은 프로세스] [ ps 옵션 ] -e 모든 프로세스 출력 -f 프로세스의 다양한 정보 출력 프로세스 소유자(UID), 프로세스 식별자(PID), 부모 PID(PPID) 등 BSD 계열 ps aux | grep [찾고싶은 프로세스] [ ps 옵션 ] a 터미널에 연관된 프로세스 출력 u 프로세스의 사용자/소유자,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 양(%CPU),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양(%MEM),가상 메모리 사용량(VSZ), 실제 메모리 크기..
vi 한줄 복사 1. 한줄 복사 복사하고 싶은 위치로 커서 이동 > yy 2. 현재 위치 아래에 붙여넣기 붙여넣고 싶은 위치로 커서 이동 > 소문자 p 3. 현재 위치 위에 붙여넣기 붙여넣고 싶은 위치로 커서 이동 > 대문자 p
PostgreSQL db, schema, user, role 생성 PostgreSQL을 설치하면 default user로 postgres가 생성되며 superuser 권한을 가진다. 여기에 database를 생성하면 default schema로 public schema가 생성되며 모든 user가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user가 public schema에서 객체를 생성할 수 없도록 하고 신규 database와 schema를 생성해보자. # public schema revoke revoke all privileges on schema public FROM public; # user 생성 create user {user} with password '{password}'; # db 생성 create database {database} owner {user}; # d..
[Flutter] 화면전환 Navigator Push, Navigator Pop 플러터에서는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할 때 Navigator를 사용한다. 이 때 push, pop 메소드를 사용해서 화면을 이동하는데 stack 자료구조에 대한 간단한 이해가 필요하다. stack이란 자료를 쌓아올리는 것을 말하며, 자료를 넣는 것을 push, 자료를 꺼내는 것을 pop이라고 한다. 꺼내지는 순서는 가장 최근에 push한 자료부터이며 이처럼 가장 나중에 넣은 값이 먼저 나오는 것을 LIFO(Last In First Out)이라고 한다. Navigator의 push 메소드를 사용해서 메인 페이지 -> 상세 페이지 -> 결제 페이지 순으로 이동했다면, pop 메소드를 사용해서 결제 페이지 -> 상세 페이지 -> 메인 페이지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1. Navigator.Push() P..
Spring Cloud Config - 1 목차 더보기 1. 이론 2. 설정 - Config 서버 생성 - Config server가 사용할 저장소 구현 이론 중앙화 된 설정 서버 Spring Cloud Config는 분산 시스템에서 환경설정을 외부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Config Server를 사용하여 모든 환경(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등)에 대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속성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장점 설정 관리의 용이성 운영중에 서버 빌드 및 배포 없이 환경설정 변경 가능 설정 1. Config 서버 생성 1) Config Server Dependency 추가하여 새로운 스트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actuator dependency 추가 (actuator는 서버 구동 테스트용으로 사용 후 삭제) dependencie..